자료구조
동영상 데이터의 표현 (p31 ~ p33)
치즈샌드CS
2024. 6. 11. 13:45
동영상 데이터는 정지 영상을 연속해서 보여 주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원리로, 움직이는 영상을 표현한 것이다.
정지 영상을 프레임이라고 하는데, 초당 프레임 수가 많을수록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필요한 자료의 용량은 커진다.
대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여 주기 위해서는
초당 25 ~ 30 프레임이 필요하다.
동영상은 움직이는 영상과 함께 오디오를 동시에 저장하여
표현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별도의 동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동영상 데이터 파일 형식에는
AVI, MP4, MOV, ASF, MKV 등이 있으며, 대부분
코덱과 같은 동영상 암축 기술을 이용한다.
파일 확장자 | 내용 |
AVI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다.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파일 포맷이지만 압축률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압축된 파일이기 때문에 압축을 해제할 코덱이 필요 |
MP4 | MPEG에서 내놓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MPEG-4의 일부로 규정된 파일 포맷이다.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기술을 지원 |
MOV | 애플사의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퀵 타임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원 |
ASF | 인텔이 만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스트리밍 기술을 지원 |
RM | 리얼 플레이어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파일이다.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고품질 동영상, TV, 라디오 등을 시청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