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과자

  • 홈
  • 태그
  • 방명록

고정길이 레코드 1

[이전 완] 필드와 레코드의 가변, 고정 길이 + 2의 보수 사용 장점 (학교 과제, p22 ~ p23)

Q1. 필드의 종류와 각각에 대한 설명 작성 (100자 이상)필드의 종류에는 크게 고정길이와 가변길이가 있다.고정길이는 각각에 필드가 고정된 크기를 갖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id는 2byte, name은 8byte, score는 4byte와 같이 고정된 크기를 갖고 있는필드를 말합니다.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예로 들 수 있겠다. 가변길이는 크게 길이 지시자 방식, 구획 문자 방식, 키워드=값 구조 방식으로 나눠진다. 길이 지시자 방식은 필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할당하되 각각의 필드에필드의 길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필드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예로 들 수 있겠다. 빨간색으로 표현한 것은각 필드의 크기를 의미한다. 구획 문자 방식은 각각의 필드를 특정한 구획 문자로구분한다. 예를 들면..

자료구조 2024.03.19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우리 모두 원하는 목표를 이룰 때까지 화이팅~!

  • 분류 전체보기 (31)
    • 자료구조 (29)
    • 알고리즘 (1)
    • Kotlin (0)
    • JavaScript (0)
    • Go (0)

Tag

표현 범위, 렝스 부호화, 기본 사례, 가변길이 레코드, 가변 크기, 배열, 재귀적 사례, 부동소수점, python, 리스트, 가변길이 필드, 고정길이 레코드, 바이어스 값, 반복길이 부호화, 자료 구조, 하노이의 탑, 고정 크기, C, 알고리즘, 런렝스 부호화,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 블로그 이전 안내
  • 공지사항 6/19
  • 글 작성 방식 공지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