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소수점 2

알고리즘 절대, 상대 오차 (백준 1008)

알고리즘을 풀다 보면이 문제와 같이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9 이하이면 정답"라는 조건이 달린 문제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오차, 절대 오차, 상대 오차에 대해 알아본 후해당 문제를 풀이할 것이다. 오차(Error)오차란 참값(또는 이론값)과 실제 측정값(또는 근삿값)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굳이 식으로 본다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오차 = 측정값 또는 근삿값 − 참값 (실제 값) 절대 오차(Absolute Error)절대 오차란 참값과 근삿값의 차이를 절댓값으로 취한 것을 의미한다.식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참값 = 3.14159265근삿값 = 3.14 절대 오차 = ∣근삿값 − 참값∣= 0.00159265 이걸 또 다르게 표현하면 0.001592..

알고리즘 2025.04.13

[이전 완] 부동 소수점과 바이어스 값 (학교 과제, p23)

Q. 바이어스 값 이란 (길이, 형식 자유) 부동 소수점 데이터 표현 방식에서 바이어스 값은 일종의 보정값으로,실제 지수값을 조절하여 특정 목적에 맞게 소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0.75(10)이런 숫자를 부동 소수점 표현을 이용해 표현한다고 하면0.75(10) = 0.11(2), 0.11(2) = 1.1(2) * 2^-1지수부는 127 + (-1)인데 만약 바이어스 값이 없었다면 지수부에는 따로부호 비트가 없었기 때문에 지수 -1의 표현이 어렵지만 바이어스 값이 있으므로 부호 비트와 같은 역활을 수행해지수부 0 1 1 1 1 1 1 0 와 같이 지수 -1의 표현이 쉬워졌다.지수 0은 1 0 0 0 0 0 0 0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자료구조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