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 리스트 생성
numbers = []
# 리스트에 값 추가
numbers.append(10)
numbers.append(20)
numbers.append(30)
# 리스트의 길이 출력
print("리스트의 길이:", len(numbers))
# 리스트의 모든 값 출력
print("리스트의 값들:")
for number in numbers:
print(number)
#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 출력
print("두 번째 값:", numbers[1])
# 리스트의 요소 삭제
removed_element = numbers.pop(1) # 두 번째 요소 삭제
print("삭제된 값:", removed_element)
# 삭제 후 리스트의 값들 출력
print("삭제 후 리스트의 값들:")
for number in numbers:
print(number)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구조의 분류 (p17) (0) | 2024.04.15 |
---|---|
C언어 배열과 파이썬 리스트 차이점 (학교 과제, p48) (0) | 2024.04.14 |
[이전 완] 크기와 종류 (학교 과제, p45) (0) | 2024.04.09 |
정보의 특징 (p14) (0) | 2024.04.08 |
[이전 완] 자료와 정보의 개념 (p13) (0)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