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빅 데이터 전문가란?
수집, 복원, 저장, 분석, 가공 등 빅 데이터의 전반적인 처리 및 활용을
담당한다. 컴퓨터 공학, 데이터 공학, 경영학 통계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자료 기반의 정책 및 제도, 기획, 처리, 분석, 시각화, 운영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빅 데이터의 체계를 만드는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혁신 및 신제품 개발,
마케팅 전략 등에 대한 과학적인 의사 결정을 이끌어 낸다.
Q. 빅 데이터 큐레이터란?
빅 데이터의 숨은 가치와 잠재력을 발굴할 수 있는 사람(행위)이다.
정보 과잉 시대에 웹상의 수많은 콘텐츠를 분류 & 정리하고, 체계적 표현과
조직화로 맥락/문맥(context)을 파악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창출한다.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예측', '숨은 기회 발견', '위협 요소 회피', '맞춤형 서비스',
'실시간 대응' 등 기업이나 조직의 의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Q. 실생활에서의 빅 데이터 활용 사례 탐구
날씨 예측과 재난 관리는 빅 데이터의 사례로 손꼽힌다.
날씨 예측과 재난 관리는 수많은 센서 데이터, 위성 이미지,
해양 데이터 등 다양한 소스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처리하여 기상 패턴을 분석하고
재난 관리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빅 데이터의 기술이 사용된다.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여
정확한 예측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대응과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의 특징 (p14) (0) | 2024.04.08 |
---|---|
[이전 완] 자료와 정보의 개념 (p13) (0) | 2024.04.08 |
[이전 완] 렝스 부호화와 반복길이 부호화 (학교 과제, p29) (2) | 2024.04.03 |
[이전 완] 부동 소수점과 바이어스 값 (학교 과제, p23) (0) | 2024.03.26 |
[이전 완] 필드와 레코드의 가변, 고정 길이 + 2의 보수 사용 장점 (학교 과제, p22 ~ p23)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