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1

자료 구조의 분류 (p17)

자료 구조는 자료를 저장하는 방식이나 형태에 따라 크게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로 분류한다. 선형 구조는 여러 개의 자료를 순서대로 한 줄로 저장하는 구조로,자료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모양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자료들 간의 앞뒤가 1:1의 관계를 가지며 배열, 리스트,스택, 큐 등이 대표적인 선형 구조이다. 비선형 구조는 비순차적인 성질의 자료들을 그 특성에 맞게표현한 구조로, 자료들 간의 앞뒤가 1:n 또는 n:n의 관계를 가진다.위에 자료는 자료구조를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로 분류한 것이다.위에 자료에서 맨 오른쪽은 각 자료 구조에 맞는 형태 예시이다.

자료구조 2024.04.15

C언어 배열과 파이썬 리스트 차이점 (학교 과제, p48)

C언어 배열과 파이썬 리스트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1. 정적, 동적 할당C 언어의 배열은 정적으로 할당된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배열의 크기가 결정되고,이 크기는 실행 중에 변경할 수 없다.#include int main() { int a[10] = {0, }; a[4] = 5; a[3] = 7; // a[11] = 8; 에러! return 0;}파이썬의 리스트는 동적으로 할당된다. 즉, 리스트를 만들 때 크기를 지정할 필요가 없으며,필요에 따라 크기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빈 리스트 생성dynamic_list = []# append() 함수를 사용하여 요소를 추가dynamic_list.append(1)dynamic_list.append(2)dynamic_li..

자료구조 2024.04.14

[이전 완] 파이썬 배열 코드 예시(학교 과제, p45)

# 빈 리스트 생성numbers = []# 리스트에 값 추가numbers.append(10)numbers.append(20)numbers.append(30)# 리스트의 길이 출력print("리스트의 길이:", len(numbers))# 리스트의 모든 값 출력print("리스트의 값들:")for number in numbers: print(number)#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 출력print("두 번째 값:", numbers[1])# 리스트의 요소 삭제removed_element = numbers.pop(1) # 두 번째 요소 삭제print("삭제된 값:", removed_element)# 삭제 후 리스트의 값들 출력print("삭제 후 리스트의 값들:")for number in numbe..

자료구조 2024.04.14

[이전 완] 크기와 종류 (학교 과제, p45)

자료형크기값의 표현 범위정수형char1 바이트-128 ~ +127short2 바이트-32,768 ~ +32,767int4 바이트-2,147,483,684 ~ +2,147,483,647long4 / 8 바이트-2,147,483,684 ~ +2,147,483,647long long8 바이트-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실수형float4 바이트±3.4 * 10^-37 ~ ±3.4 * 10^+38double8 바이트±1.7 * 10^-307 ~ ±1.7 * 10^+308long double8 바이트 이상double 이상의 표현 범위

자료구조 2024.04.09

정보의 특징 (p14)

무형성 정보는 일정한 형태를 지니지 않으며 유동적이다. 정보 자체로는 어떤 형태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저장 매체 또는 전달 매체에 의존적이다. 독점성 정보는 공개되는 순간 그 가치가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정보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비공개적으로 빠르게 수집 및 생산하여 독점해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공개적인 자료가 그 자체로 정보의 특징이 되기도 한다. 적시성 정보는 수요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전달되어야 하며, 만일 적시에 전달되지 않는다면 정보로서의 가치는 떨어진다. 비소모성 정보는 상품과 달리 소유의 개념이 아니라 사용의 개념을 가진다. 타인에게 전달이 되어도 소모되지 않고 계속 남아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정보를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다. 상대성 같은 정보도 사용자가 어떤 목적으로 ..

자료구조 2024.04.08

[이전 완] 자료와 정보의 개념 (p13)

자료 개념자료(data)는 사전적 의미로 연구나 조사 등 어떤 일의 바탕이 되는 재료이다.자료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것을 뜻하기도 하며, 자료 그 자체로는 사용자에게특정한 의미가 없다. 정보의 개념정보(information)는 수집한 자료를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가공 처리하여의사 결정이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결과물이나 지식을 의미한다.*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정보가 생성된다. 추상화 개념추상화(abstraction)는 주어진 문제에서 특정한 목적과 관련된 필수저인 정보만을추출하고 기타 정보는 감추는 과정이다.또한, 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 것을뜻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동물에는 고양이, 강아지, 곰 등 무수히 다양한 동물이 있지만"동물"이라는 ..

자료구조 2024.04.08

[이전 완] 빅 데이터 활용 사례 & 유망 직종 (학교 과제, p26)

Q. 빅 데이터 전문가란?수집, 복원, 저장, 분석, 가공 등 빅 데이터의 전반적인 처리 및 활용을담당한다. 컴퓨터 공학, 데이터 공학, 경영학 통계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자료 기반의 정책 및 제도, 기획, 처리, 분석, 시각화, 운영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빅 데이터의 체계를 만드는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혁신 및 신제품 개발,마케팅 전략 등에 대한 과학적인 의사 결정을 이끌어 낸다. Q. 빅 데이터 큐레이터란?빅 데이터의 숨은 가치와 잠재력을 발굴할 수 있는 사람(행위)이다.정보 과잉 시대에 웹상의 수많은 콘텐츠를 분류 & 정리하고, 체계적 표현과조직화로 맥락/문맥(context)을 파악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창출한다. 빅 데이터를분석하여 '미래 예측', '숨은 기회 발견', '위협 요소 회..

자료구조 2024.04.08

[이전 완] 렝스 부호화와 반복길이 부호화 (학교 과제, p29)

Q. 렝스 부호화(반복길이 부호화)란?렝스 부호화는 데이터를 더 작은 크기로 변환하여저장공간을 절약하거나 데이터 전송 시간을 단축하는 데 사용된다. 렝스 부호화는 주로 데이터에서 반복되는패턴을 찾고 더 짧은 비트로 표현함으로써 압축한다.렝스 부호화에는 여러 유형이 있지만 이번에는런 렝스 부호화에 대해 알아보겠다. 런 렝스 부호화는 동일한 값이 연속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그 값을 한 번만 저장하고 그다음 값이 나타나기 전까지의반복 횟수를 기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복되는 데이터의 크기를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AAABCDDEEEEEEEFFFFFFFF" 이런 문자열이 있다 하면런 렝스 부화하를 사용해 압축하면 "A4B1C1D2E7F8" 이런 식으로 변환할 수 있고 간단한 이미지를 예로 들면 위 이..

자료구조 2024.04.03

[이전 완] 부동 소수점과 바이어스 값 (학교 과제, p23)

Q. 바이어스 값 이란 (길이, 형식 자유) 부동 소수점 데이터 표현 방식에서 바이어스 값은 일종의 보정값으로,실제 지수값을 조절하여 특정 목적에 맞게 소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0.75(10)이런 숫자를 부동 소수점 표현을 이용해 표현한다고 하면0.75(10) = 0.11(2), 0.11(2) = 1.1(2) * 2^-1지수부는 127 + (-1)인데 만약 바이어스 값이 없었다면 지수부에는 따로부호 비트가 없었기 때문에 지수 -1의 표현이 어렵지만 바이어스 값이 있으므로 부호 비트와 같은 역활을 수행해지수부 0 1 1 1 1 1 1 0 와 같이 지수 -1의 표현이 쉬워졌다.지수 0은 1 0 0 0 0 0 0 0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자료구조 2024.03.26